화이자 2차 접종 시기 정보에 대해서 정리하여 드리겠습니다.
상반기 주력 백신이었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제품이, 하반기 들어 화이자 백신으로 바통을 있어받았는데요. 현재 계약 및 수급 상황으로, 우리나라의 주력 제품은 화이자 제품이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러한 접종률 수치는 현재 기준으로 1100만 회를 기록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뛰어넘어, 누적 1700만 회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대략 1700만 회에 달하는 화이자 1차 접종자의 경우, 2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도 많지만, 앞으로 2차 접종을 앞두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2차 접종 대상자들을 위해서 해당 정보를 정리하여 봅니다.
해당 2차 접종 정보는 아래와 같은 목차 순으로 정리하여 드릴 예정입니다.
- 백신별 2차 접종 부작용
- 2차 접종 백신 정보
- 6주 후 백신 예방률
- 마치는 글
백신별 2차 접종 부작용
화이자 백신의 경우, mRNA 항원 방식의 백신입니다. 동일한 제조 방식을 가진 백신으로는 모더나 백신이 있는데요. 이러한 백신 외에 상반기에 주로 우리 국민에게 접종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바이러스 벡터 제조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조 방식에 따른 부작용은 아래와 같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1. mRNA 코로나 백신
앞서 서술했던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작용 정보의 경우, 1차에 비해 2차 접종 부작용이 큰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이는 mRNA 백신의 면역 항체 방식을 이해하시게 되면, 그 이유를 아시게 됩니다.
- mRNA 방식은 쉽게 얘기해, 일종의 면역 항체를 생성하는 설계도를 체내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이러하기에 최초 1차 접종 시에는 단순히 설계도만 체내에 입력하기에 그 부작용이 작게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후 2차 접종 시에는 1차 후 생성된 항체에 의해, 이후 투여된 2차 접종분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켜, 2차 접종 부작용 정도를 부과되게 되어, 그 반응의 크기가 보다 크게 나타납니다.
2. 바이러스 벡터 코로나 백신
그럼, 상반기 주력 백신이었던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의 경우, 2차 접종 부작용이 1차에 비해 작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 해답은 바이러스 벡터라는 일종의 매개체 때문입니다.
- 바이러스 벡터라는 매개체에 항원을 주입하여 체내에 주입하게 되는데요. 해당 바이러스 벡터는 일종의 무반응 매개체이나, 체내에 투입되면 반응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1차 때 해당 바이러스 벡터 매개체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 부작용을 경험하였다면, 2차 접종 때에는 학습 효과로 인해 그 부작용이 작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듯, 만약 화이자 백신에 대한 2차 예방접종이 예정되어 있다면, 위의 사실을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하기에 만약 이번 2차 접종 시에는 앞선 1차 반응에 비해, 그 정도의 크기가 클 수 있기에, 충분히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변경
만약, 이러한 이유로 2차 접종을 연기 및 고려하는 것은 좋지 않지만, 부득이하게 변경할 사유가 생긴다면 아래의 방법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합니다.
2차 접종 백신 정보
그럼, 앞서 백신의 제조 방식에 따른 부작용 정도를 파악하셨다면, 본격적인 2차 접종 정보가 궁금하실 텐데요. 이번 화이자 제품 외에 여타 백신의 2차 접종 정보를 같이 정리해드리겠으니, 지인 및 주변인들의 2차 접종 시에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우선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이 접종하고 있는 백신 접종 시기의 경우 변경이 여러번 있었음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백신 수급 상황에 의한 변경이었음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1. 화이자 백신
해당 백신의 현재 2차 접종 간격은 6주입니다. 원 해당 백신의 접종 시기는 FDA 승인 시에 받았던 3주 였으나, 모더나 백신 등의 수급 상황과 연계되어 6주로 통일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모더나 제품의 수급 상황이 괜찮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해당 접종 시기가 변경될 소지가 있습니다.
- 화이자 백신 - 현재 6주로 변경
2. 모더나 백신
모더나 백신의 경우, FDA 승인 시에 받았던 접종 시기는 화이자에 비해 1주가 더 긴 4주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화이자 제조사와 달리, 생산시설을 위탁하고 잇는 모더나 제품의 경우, 수급 상황이 더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수급 상황과 맞물려, 현재 화이자와 같이 6주 접종 간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모더나 백신 - 화이자와 동일하게 6주로 변경
3.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영국 제품인 특성과 더불어 앞선 화이자 및 모더나 제품과 달리 FDA 승인이 아닌, EMA(유럽식품의약청)의 승인을 받은 제품입니다. 해당 EMA 승인 시에 받았던 접종 시기는 8주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상반기 주력 백신이었던 탓과 mRNA 백신 공금이 안되었던 탓에, 상반기 수급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 8주에서 최대 12주 간격 가능
4. 코로나 백신 접종 확인서 발급
만약 이번 회차에 화이자 백신의 최종 접종이 완료된 후 14일 지나게 되면, 정부에서 시행하는 백신 인센티브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2차 접종 이후에는 해당 코로나 백신 접종 확인서를 미리 발급받아, 준비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는 글
화이자 2차 접종 시기 관련한 일반 정보 및 부작용 발현율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드렸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화이자 백신의 경우 2차 접종 부작용이 큰 만큼, 해열진통제를 사전에 준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혹여나 1차 접종시에 부작용이 발생치 않았더라도, 2차 접종 시에 나타날 수 있는 만큼 미리 사전에 준비하시고 예방접종을 임하시는 것이 좋겠죠. 해당 정보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여백신 2차접종 3가지 (0) | 2021.09.17 |
---|---|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수집 (0) | 2021.09.14 |
코로나 백신 접종 확인서 간편 발급 (0) | 2021.09.09 |
추석 가족모임 거리두기 정보 (0) | 2021.09.07 |
위드 코로나 뜻 이해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