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 / 2021. 9. 17. 16:11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총정리

썸네일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정보에 관한 궁금증이 많으신 것 같아, 오늘 이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보고자 합니다. 두 백신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 코로나 백신임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예방 효과 및 비교적 적은 부작용 발현율로 수요가 많은 백신입니다.

 

 

이러한 두 백신 간의 교차접종 여부에 관한 이슈가 최근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음에는 두 가지 사항에 대한 여부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그 한가지는 화이자 백신과 같이 모더나 교차접종을 시행하느냐에 대한 여부와, 같은 제조방식을 택한 두 백신 간의 교차접종 가능 여부를 묻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사항을 아래의 목차에 맞춰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모더나 교차접종 시행 여부
  • mRNA 백신 간 교차접종 여부
  • 마치는 글

 

 

모더나 교차접종 시행 여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교차접종을 시행하는 나라는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1차에는 바이러스 벡터 계열의 백신을 접종받고, 2차에는 mRNA 계열의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가 그 예인데요. 실제로 각국의 연구 조사에서 단일 계열의 백신을 2회 접종받는 것보다 혼합하여 접종 받는 것이 지속성 및 예방 효과 면에서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교차접종을 시행한 집단군 - 항체 생성 면 T세포 반응의 상승
  • 항체 유도 - 단일 제재에 비해 더 높은 항체 유도 효과
  • 접종 간격 - AZ 12주 접종간격에 비해 교차접종한 4주 접종 간격의 예방 효과가 더 높음

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1. 해외 국가 사례

 

스페인, 독일, 영국 등의 경우는 현재 화이자 및 모더나 교차접종을 적극 시행하고 있습니다. 즉 2차 접종 백신이 화이자 또는 모더나를 교차 접종하는 경우가 많은 것인데요. 영국 제품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주로 유럽 전역에 투여되었기에 해당 교차접종에 관한 연구 및 사례가 더 많은 편이 그 이유입니다.

  • 스페인, 독일, 영국 외 유럽 국가 - 바이러스 벡터 + mRNA 교차접종

 

2. 우리나라 시행 정책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요?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투여 후 화이자 2차 접종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모더나 교차접종 여부가 궁금하실 텐데요. 이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었습니다.

  • 우리나라 모더나 교차접종 여부 - 모더나를 그 대상으로 것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1차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대상으로 모더나 제품을 2차 접종하는 것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mRNA 백신 간 교차접종 여부

그럼 앞서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mRNA 백신 간 접종 관련 정보를 보셨다면, mRNA 백신 간 교차접종은 어떨까요? 먼저, 해외 국가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백신접종사진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1. 해외 국가 사례

 

mRNA 백신 간, 즉 화이자 모더나 제품을 각 1회씩 투여하는 것을 승인한 대표적인 국가는 캐나다와 노르웨이가 있습니다. 이들 국가의 경우, 현재 다른 두 백신의 교차접종을 승인 및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부작용은 특별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데요. 두 정부에서 밝히는 승인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mRNA 백신 - 두 백신, 화이자 및 모더나의 경우 동일한 기술 기반의 백신입니다. 즉, 항체 생성 원리에서 항원 유발체인 스파이크 단백질 생성원리가 같기에 무리가 없다는 의견이며, 이는 첫 번째 접종 후 생긴 항체 면역 반응에 대해 2차 접종 시 반응하는 결과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 부작용 반응 동일 - 다른 기술 기반의 백신을 접종하는 것에 비해, 동일한 기술 기반의 두 백신을 접종 받는 것이 부작용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접종 시에 발현된 부작용에 대한 반응성이 2차 접종 때 적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 다른 유형의 교차접종 결과 - 바이러스 벡터 방식과 mRNA 방식의 교차접종 결과에서 더 좋은 항체 면역 결과가 나타났기에, 동일 방식의 상이한 두 제품을 접종하는 것 또한 동일하게 작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2. 우리나라 시행 여부

 

며칠 전, 9/10경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에 따르면 동일 제조 방식의 교차접종 시행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이에 덧붙여 이러한 물음이 나오는 이유가 두 백신의 수급 상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였다는 소식도 같이 동반하였습니다.

  • mRNA 백신 간 교차접종 - 우리나라의 경우 검토하지 않음
  • 이는 모더나 백신의 수급 상황이 좋지 않아 발생하였지만, 현 수급 상황은 해당 안을 검토할 정도는 아니라는 의견

 

3. 화이자 모더나 접종간격

 

앞서 언급하였던 화이자 모더나 제품의 경우, 앞서 짧게 언급하였지만 전 세계적인 품귀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경우, FDA 긴급사용승인 시에 받았던 접종 간격과는 다소 지연된 시기에 접종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방 효과 등의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아래의 제 포스트를 참조 바랍니다.

 

 

모더나, 화이자 6주 접종 간격

모더나 및 화이자 접종 간격을 기존 4주에서 6주로 연기하는 시행 안을 정부에서 발표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의 코로나 백신 수급 지연 사태에 따른 것으로, 8월 16일 이

jhongblog.tistory.com

 

 

4. mRNA 백신 중대 부작용

 

화이자 모더나 제품을 접종한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바로 심근염 증상인데요. 이는 심장의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써, 심할 경우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기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특히 이번의 경우처럼 mRNA 백신을 2회 접종하게 된다면, 위 부작용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심근염 증상 판별

하반기 대부분의 접종 대상자는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을 대부분 접종받게 됩니다. 해당 제품의 경우, 하반기에만 대략 1억 회 분에 해당하는 물량이 도입될 예정인데요. 이러한 mRNA 두 백신에게

jhongblog.tistory.com

 

 

 

마치는 글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 정보를 정리하여 드렸습니다. 어떻게 이에 대한 궁금증이 어느 정도 해소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위 교차접종에 대해서는 시행할 예정이 없다고 발표하였지만, 백신 수급 상황에 따라 다른 의견이 나올 수 있는 만큼, 해당 정보를 사전에 알고 계시는 것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9/17부터 잔여백신으로 2차 접종을 투여받으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6주에서 보다 단축된 기간 내에 접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데요. 해당 정보는 아래 제 포스트를 참고 바랍니다.

 

 

잔여백신 2차접종 3가지

잔여백신 2차접종 17일부터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접종간격과 다른 부분이 있는 만큼, 많은 분들께서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오늘 정리를 해드릴께요 현재 백신 2차접종을 할 수 있는 백신

jhongblog.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